인도 전자제품이 4~6월 기간 동안 56%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네 번째로 큰 수출 품목으로 등극했다.
인도 상공부에 따르면,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약 49억 달러에서 약 76억 달러로 증가했다. 이번 성장으로 인도 전자제품은 상위 30개 수출 품목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가 됐다.
전문가들은 전자제품이 보석 및 주얼리 부문과의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분기에는 세 번째로 큰 수출 품목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전자제품은 이미 화학, 의약품, 제약 분야를 제치고 2024년 회계연도 1분기에 4번째로 큰 수출 카테고리로 부상했다.
전자제품 부문의 호황은 2020년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제도 시행 이후 큰 폭으로 성장한 스마트폰이 주도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올해 회계연도 1분기 인도의 전체 전자제품 수출에서 52%를 차지하며 약 4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는 1년 전의 38%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한편, 애플의 아이폰은 2024년 회계연도 1분기 전체 전자제품 수출의 35%, 전체 모바일 수출의 66%를 차지하며 제일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달 인도의 아이폰 수출액은 약 26억 7,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