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전자제품이 4~6월 기간 동안 56%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네 번째로 큰 수출 품목으로 등극했다.
인도 상공부에 따르면,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약 49억 달러에서 약 76억 달러로 증가했다. 이번 성장으로 인도 전자제품은 상위 30개 수출 품목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가 됐다.
전문가들은 전자제품이 보석 및 주얼리 부문과의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분기에는 세 번째로 큰 수출 품목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전자제품은 이미 화학, 의약품, 제약 분야를 제치고 2024년 회계연도 1분기에 4번째로 큰 수출 카테고리로 부상했다.
전자제품 부문의 호황은 2020년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제도 시행 이후 큰 폭으로 성장한 스마트폰이 주도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올해 회계연도 1분기 인도의 전체 전자제품 수출에서 52%를 차지하며 약 4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는 1년 전의 38%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한편, 애플의 아이폰은 2024년 회계연도 1분기 전체 전자제품 수출의 35%, 전체 모바일 수출의 66%를 차지하며 제일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달 인도의 아이폰 수출액은 약 26억 7,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