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중국과 아세안에 대한 수출이 작년 대비 20% 이상 급감함에 따라 주요 시장의 한 축이 무너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중국과 아세안에 대한 수출증가율이 각각 -26.0%, -20.4%로 두 시장 모두 20% 이상 감소했다. 반면 미국과 EU의 경우, 수출은 각각 0.3%, 5.7% 소폭 상승했다.
중국 수출이 감소한 원인은 IT 업종을 중심으로 대세계 수출 부진 상황이 중간재 수입 수요 감소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과 같은 우리나라의 대중국 주요 수출 품목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이와 같이, 반도체 수출은 -39.8%, 디스플레이 수출은 -47.9%, 석유화학 수출은 -23.9%로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EU에 대한 자동차 수출은 호조를 보였다. 올 상반기 대미 자동차 수출은 54.2%, 대EU 자동차 수출은 55.6%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이 지역들에 대한 일반기계와 양극재 수출도 호조세를 보였다.
미국으로의 일반기계 수출은 4.1%, EU로의 일반기계 수출은 8.7% 증가했으며, 양극재의 경우 미국 수출은 28.6%, EU 수출은 92.3% 증가했다.
산업부는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21일, '제7차 수출 지역 담당관 회의'를 열고 주요 지역별 수출 상황을 점검하고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 간 통상협력을 강화하며 정상 세일즈 외교를 통해 발굴한 수출·수주 프로젝트를 집중적으로 지원해 성과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