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가 원래의 계획을 변경해 구리 정광 등의 수출 금지를 내년 5월까지 연기하고, 대신에 최대 10%의 수출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19일 CNBC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금속 광물 수출 시 제련 시설 건설의 진행 상황에 따른 관세 정책을 적용한다고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제련소 건설 공정률이 50% 이상인 광산 회사들에게만 구리 수출을 허용한다. 공정률이 50∼70% 미만인 경우 수출 관세 10%, 70∼90% 미만은 7.5%, 90% 이상인 경우는 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철, 아연, 납 정광에 대해서도 제련소 공정률에 따라 2.5∼7.5%의 수출 관세를 적용하고, 올해 말까지 관세율이 유지될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는 공정률에 따라 구리 정광은 7.5∼15%, 철, 아연, 납 정광은 5∼10% 범위로 관세를 인상된다.
이 같은 결정은 원자재가 풍부한 인도네시아가 2020년부터 차량용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의 원광 수출을 중지하고, 올해 6월부터는 보크사이트와 구리, 철, 아연, 납 등의 수출도 중지하겠다는 공언을 이행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광산업체에 제련소 건설을 요구하며 광산 개발 허가권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보크사이트의 경우 올해 6월부터 수출이 중지됐지만 구리와 철, 아연, 납 등은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제련소 건설이 지연됐다. 이에 따라 수출 금지를 내년 5월까지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제련 시설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출 중지가 이루어질 경우 대규모 실업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결정이다.
이러한 정책의 변경으로, 이제 제련소 공정률에 따라 최대 10%의 수출 관세가 부과된다. 기존에는 공정률이 50% 이상인 곳은 수출 관세가 면제됐던 것과는 대조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