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에는 위스키 수입이 50% 이상 빠르게 확대되어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반면, 코로나19 시대의 홈술과 혼술 문화로 활기를 띤 와인 수입은 이제 엔데믹 이후에 감소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19일 발표된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스카치, 버번, 라이 등 위스키류의 수입량은 1만 6,900톤으로 2000년부터의 반기 기준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바로 이전의 지난해 하반기(1만 5,800톤) 수치를 뛰어넘었다.
올해 상반기 위스키 수입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50.9%나 빠르게 증가했다.
위스키 수입량은 2021년 상반기 6,800톤에서 지난해 상반기 1만 1,200톤으로 63.8% 증가한 이후, 올해 상반기에는 1만 6,900톤으로 50% 이상 다시 증가했다.
위스키 수입액도 2021년 상반기 7,600만 달러에서 지난해 상반기 1억 2,000만달러로 늘어나고, 올해 상반기에는 1억 3,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런 추세는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 사이에서 위스키를 탄산수나 토닉워터와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끈 덕분이라고 볼 수 있다.
위스키가 일부 계층을 위한 고가의 술에서 점차 대중적인 모습을 갖추면서 수입 규모도 계속 커지고 있다.
반면에, 와인은 이제 수입량이 줄어들고 있다. 올해 상반기 와인 수입량은 3만 1,300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8% 감소했다. 엔데믹으로 홈술과 혼술이 줄어, 와인의 인기도 함께 꺾이는 상황이다.
맥주 수입은 감소세에서 벗어나 4년 만에 다시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맥주 수입량은 12만 700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7.1% 증가했다.
맥주 수입량은 2019년 상반기 18만 8,900톤에서 2020년 상반기 14만 2,500톤, 2021년 상반기 12만 2,800톤, 그리고 지난해 상반기 11만 2,600톤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이런 변화는 일본이 2019년 7월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등에 대한 한국 수출 규제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 맥주에 대한 불매운동이 다소 약화되고 한일 관계가 개선되면서 일본 맥주 수입이 늘어나고 있어, 전체 맥주 수입도 증가하고 있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