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수출이 지난해 대비 약 10% 감소해, 연속적으로 5% 성장을 기대하던 경제 전망에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수출은 1,287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8.9% 감소했다. 이는 주요 수출 품목인 석탄, 팜유, 니켈 등의 원자재 가격이 떨어지면서 발생한 결과로 전세계 수요 또한 약화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 석탄과 팜유 수출이 크게 줄어들어 총 수출은 206억 1,000만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21.2% 감소했다. 이는 로이터 통신이 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예상치인 -18.9%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한 결과다.
인도네시아의 수입 또한 유가 하락 등으로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수입은 1,087억 달러로, 이는 지난해 대비 6.4% 감소했다. 지난달에는 내수 부진으로 수요가 위축돼 수입이 지난해 대비 18.4% 감소했다.
수출은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며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해 대비 20.4% 줄어든 19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러한 수출 및 수입의 부진으로 인도네시아 정부의 연속적인 5% 성장률 목표에 경고등이 켜졌다.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GDP 성장률이 전년 대비 5.3% 증가하여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올해도 5%의 성장률을 기대했다.
하지만, 원자재 가격 하락, 중국의 물가 하락 전망,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요인으로 '제로 코로나'의 종식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점쳐졌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재무장관은 내년 2월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정부와 정당의 지출 증가가 예상되며, 재정 상태는 양호하다고 언급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가계 소비도 양호하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한편, 일부에서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하지만 다수의 의견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다. 트리메가 증권의 이코노미스트는 물가가 3%대로 안정적이며 수입 감소로 인해 올해 내로 0.5%포인트의 금리 인하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