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대태국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농산물 부문이 성과를 남겼다.
캄보디아 관세총국에 따르면, 올해 첫 5개월 동안 캄보디아는 태국에 전년 대비 10퍼센트 증가한 4억 8,000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출했다.
반면, 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액은 2023년 같은 기간 동안 14% 감소한 1,400만 달러에 그쳤다.
캄보디아 태국 비즈니스협의회(TBCC)의 지라눈 웡몬콜(Jiranun Wongmonkol) 회장은 이러한 수출 증가는 태국에서 캄보디아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태국의 대캄보디아 수입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첫 5개월 동안 수출은 크게 증가했다.
공장 설립으로 국내 수요 충족했기 때문
웡몬콜은 회장은 태국으로부터의 수입 감소의 원인을 태국 투자자들이 캄보디아에 공장을 설립하여 국내 수요를 충족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팬데믹에서 회복된 이후 캄보디아 기업가들과 생산 소유주들이 캄보디아의 사업 잠재력에 대한 통찰력을 자주 교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캄보디아는 주로 섬유, 농산물, 보석, 원자재 및 반제품을 태국에 수출한다. 반대로 캄보디아는 태국으로부터 생선, 육류, 채소, 자동차, 유기 비료, 식료품, 건축 자재 등을 수입한다.
판 소라삭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은 2025년까지 캄보디아와 태국 간 교역액 15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인내심을 갖고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한 양국의 관련 기관에 무역 및 투자에 대한 연구, 논의 및 향후 양국 간 협력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