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비 27.8% 증가한 말레이시아의 총 무역이 약 25%의 성장세를 보이며 무역 확장을 견인했다. 말레이시아 무역부는 전자 집적 회로 수출의 호조와 정제 석유 제품 수출이 이러한 성장세를 뒷받침했다고 분석했다.
말레이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총 무역액이 지난해 2조 8,000억 링깃으로 전년 2조 2,000억 링깃에 비해 27.8% 증가했다.
수출은 2021년 1조 2,000억 링깃에서 2022년 1조 6,000억 링깃으로 25% 증가했으며, 수입은 2021년 9,873억 링깃에서 1조 3,000억 링깃으로 31.3% 증가했다.
최근 말레이시아 무역부는 2023년 말레이시아 주별 대외 무역 통계 보고서의 배포와 함께 통계를 발표했다.
라부안(75.3%), 사라왁(52.7%), 케다(36.1%), 조호르(35.2%), 펄리스(34.2%), 페낭(30.3%), 사바(27%) 등 7개 주에서 수출입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그러나 페라크는 수출액이 22억 링깃(5.6%) 감소한 371억 링깃을 기록했다.
페낭은 29.9%의 점유율로 여전히 수출 1위 주였으며, 조호르(21%), 셀랑고르(17.8%)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라부안(71.2%), 펄리스(50.9%), 조호르(49.7%), 파항(47.7%), 네제리 셈빌란(41.2%), 사라왁(46%)에서 수입 증가율을 기록했다. 셀랑고르는 25.7%의 점유율로 말레이시아의 수입을 계속 주도했고 페낭(22.6%)과 조호르(22.4%)가 그 뒤를 이었다.
셀랑고르에서 기록된 높은 수입은 기타 전기 및 전자 제품에 의해 기여했으며, 페낭의 경우 전자 집적 회로가, 조호의 경우 정제 석유가 주요 수입품이었다.
무역부는 “수출 확대는 페낭과 셀랑고르의 전자 집적 회로 수출 호조로 뒷받침됐다”며 “조호르에서는 정제 석유 제품이 주 수출품이었다”고 말했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