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비 27.8% 증가한 말레이시아의 총 무역이 약 25%의 성장세를 보이며 무역 확장을 견인했다. 말레이시아 무역부는 전자 집적 회로 수출의 호조와 정제 석유 제품 수출이 이러한 성장세를 뒷받침했다고 분석했다.
말레이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총 무역액이 지난해 2조 8,000억 링깃으로 전년 2조 2,000억 링깃에 비해 27.8% 증가했다.
수출은 2021년 1조 2,000억 링깃에서 2022년 1조 6,000억 링깃으로 25% 증가했으며, 수입은 2021년 9,873억 링깃에서 1조 3,000억 링깃으로 31.3% 증가했다.
최근 말레이시아 무역부는 2023년 말레이시아 주별 대외 무역 통계 보고서의 배포와 함께 통계를 발표했다.
라부안(75.3%), 사라왁(52.7%), 케다(36.1%), 조호르(35.2%), 펄리스(34.2%), 페낭(30.3%), 사바(27%) 등 7개 주에서 수출입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그러나 페라크는 수출액이 22억 링깃(5.6%) 감소한 371억 링깃을 기록했다.
페낭은 29.9%의 점유율로 여전히 수출 1위 주였으며, 조호르(21%), 셀랑고르(17.8%)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라부안(71.2%), 펄리스(50.9%), 조호르(49.7%), 파항(47.7%), 네제리 셈빌란(41.2%), 사라왁(46%)에서 수입 증가율을 기록했다. 셀랑고르는 25.7%의 점유율로 말레이시아의 수입을 계속 주도했고 페낭(22.6%)과 조호르(22.4%)가 그 뒤를 이었다.
셀랑고르에서 기록된 높은 수입은 기타 전기 및 전자 제품에 의해 기여했으며, 페낭의 경우 전자 집적 회로가, 조호의 경우 정제 석유가 주요 수입품이었다.
무역부는 “수출 확대는 페낭과 셀랑고르의 전자 집적 회로 수출 호조로 뒷받침됐다”며 “조호르에서는 정제 석유 제품이 주 수출품이었다”고 말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