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중국 수출 기업 수가 역대 최대로 감소했다. 2022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에 따르면, 중국으로 수출한 기업 수는 전년도에 비해 6.1% 감소한 2만 8,370개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부터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큰 감소율이었다.
전체 수출 기업 중 중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비중은 29.9%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1,554억 달러로 4.5% 감소했으며, 이는 전체 수출액 중 22.8%를 차지했다. 이 역시 역대 최소 비중이다.
반면 전체 수출 기업 수는 0.4% 증가한 9만 5,015개로,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액은 6.1% 증가해 6,821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기업 규모별로 볼 때, 수출 기업 수는 대기업이 0.4% 증가하고, 중소기업이 0.5% 증가했으나, 중견기업은 1.8% 감소했다. 수출액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모두에서 증가했으며, 중견기업의 수출액이 처음으로 중소기업의 수출액을 앞서게 됐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 수출 기업 수가 1.4% 증가했으나 광제조업은 1.3% 감소했다. 그러나 수출액은 석유화학과 운송장비 등에서 증가해 광제조업이 전체적으로 5.2% 증가했다.
한편, 2022년 수입 기업 수는 1.6% 감소한 20만 6,329개로 집계됐으나 수입액은 19.4% 증가해 7,236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2010년부터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으로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수입액이 대기업에서 27.9%, 중견기업에서 10.7%, 중소기업에서 5.0% 증가했다. 이는 모든 기업 규모에서 수입이 늘었다는 것을 보여주며, 경제의 활성화를 반영하고 있다.
재화의 성질에 따른 수입액 분석 결과, 원자재는 30.4%, 소비재는 10.7%, 자본재는 7.8% 증가했다. 이는 각각의 성질에 따른 수요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전체 수출 기업 수와 수출액의 증가는 한국 경제의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무역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한국 기업들의 능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