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난에 시달리는 베네수엘라가 직송 항로를 통해 러시아에 대한 커피 수출을 늘릴 계획이다.
러시아-베네수엘라 상공회의소 대표 로만 프롤렌코는 모스크바와 카라카스가 세바스토폴,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보로시스크 등 러시아 항구에서 출발하는 세 가지 잠재적 경로를 통해 곧 직접 운송 통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양국 간 원활하고 효율적인 상품 운송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프롤렌코는 베네수엘라 커피의 품질이 매우 우수하나 콜롬비아 커피만큼 홍보가 잘 되지 않았다며, 베네수엘라 커피 생산업체들이 러시아 시장에 대한 커피 공급을 늘리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류 문제가 해결되면 더 많은 라틴 아메리카 제품이 러시아 시장에 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프롤렌코는 커피 외에도 아보카도, 망고, 해산물, 다양한 종류의 생선 등 아직 러시아에 알려지지 않은 다른 제품들을 언급했다. 그는 또한 러시아 생산자들이 해바라기 오일을 공급하기를 원한다고 언급했다.
베네수엘라에서 러시아로의 커피 공급 증가 움직임은 양국에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재와 유가 하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경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베네수엘라는 커피 수출 증가로 외환 보유고를 확보할 수 있으며, 주요 커피 소비국인 러시아는 고품질 커피를 추가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러시아와 베네수엘라 간의 무역 관계 증가는 두 나라 간의 경제 협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단서다. 특히 양국간 직송 통로의 구축은 물류 비용 절감과 함께 상품 유통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러시아와 베네수엘라 간의 무역 및 상품 교환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