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사우디아라비아 비즈니스 협의회가 양국간의 중소기업 수출 및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공동 펀드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칼리드 벤젤룬이 이끄는 모로코-사우디 협의회는 양국 간 무역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이니셔티브에는 모로코 최대은행 아티자리와파(Attijariwafa Bank), 방크 포퓰레르(Banque Populaire), 크레디트 아그리콜(Credit Agricole), 뱅크오브아프리카 등 은행이 참여한다. 사우디 투자 은행과 민간 부문 개발을 위한 이슬람 공사도 참여할 예정이다.
모로코와 사우디 아라비아의 경제 관계는 이미 상당 수준까지 발전한 상황이다. 모로코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2021년 양국 간 총 교역액은 약 17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의 석유 수입액은 10억 달러를 차지했다.
모로코의 산업통상부 장관인 리야드 메주르는 이전에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수출 규모를 현재 7,000만 달러에서 5억 달러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벤젤룬은 양국 간 무역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상당한 잠재력을 강조하며 행정적, 물류적 장애물을 제거할 것을 촉구했다.
위원회 위원들은 최근 카사블랑카에서 열린 회의에서 섬유, 수공예품, 자동차 부품, 식품, 기술 제품 등 모로코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량을 늘릴 수 있는 여러 모로코 제품을 확인했다.
현재 두 아랍 국가 간의 무역은 석유와 농산물이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업적 교류를 다각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