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는 최근 140톤의 금을 양허세율로 수입할 수 있는 새로운 창구를 열어 금속 제조업체 및 거래업체에 혜택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인도와 UAE 간의 금 무역에 큰 활력이 불어넣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정부는 기존 및 신규 신청자들에게 금 관세율 할당량(TRQ)을 할당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도는 2023-24 회계연도 동안 최혜국 관세율(15%)에 1%의 관세 양허를 적용받아 140톤을 수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정은 인도가 주로 금을 수입하는 UAE 금괴 무역업자와 보석 무역업자에게 큰 혜택을 가져다주며,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시점에서 이 부문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귀금속 거래업체들은 이번 결정이 인도와 UAE 간의 금 무역을 강화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세계적인 귀금속 거래업체 말라바의 샴랄 아하메드 상무이사는 “세파 협정이 주얼리 소매 및 도매 사업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거래업체 조야루카스의 존 폴 알루카스 이사도 “이번 수입 계약이 인도와 UAE 간의 귀금속 무역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제로 이번 결정을 통해 개정된 지침에 따라 기존 및 신규 신청자 모두에게 금 TRQ가 할당되고 있다.
세파 협정에 따라 UAE는 금에 대한 관세율 할당량을 받는 대가로 인도산 금 주얼리 수출에 대해 즉각적인 무관세 시장 접근이 가능해진다. TRQ는 2023년 회계연도에는 110톤, 2024년 회계연도에는 140톤으로 5년 동안 점진적으로 최대 200톤까지 증가했으며, 관세는 1.0% 경감된다.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