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는 최근 140톤의 금을 양허세율로 수입할 수 있는 새로운 창구를 열어 금속 제조업체 및 거래업체에 혜택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인도와 UAE 간의 금 무역에 큰 활력이 불어넣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정부는 기존 및 신규 신청자들에게 금 관세율 할당량(TRQ)을 할당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도는 2023-24 회계연도 동안 최혜국 관세율(15%)에 1%의 관세 양허를 적용받아 140톤을 수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정은 인도가 주로 금을 수입하는 UAE 금괴 무역업자와 보석 무역업자에게 큰 혜택을 가져다주며,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시점에서 이 부문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귀금속 거래업체들은 이번 결정이 인도와 UAE 간의 금 무역을 강화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세계적인 귀금속 거래업체 말라바의 샴랄 아하메드 상무이사는 “세파 협정이 주얼리 소매 및 도매 사업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거래업체 조야루카스의 존 폴 알루카스 이사도 “이번 수입 계약이 인도와 UAE 간의 귀금속 무역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제로 이번 결정을 통해 개정된 지침에 따라 기존 및 신규 신청자 모두에게 금 TRQ가 할당되고 있다.
세파 협정에 따라 UAE는 금에 대한 관세율 할당량을 받는 대가로 인도산 금 주얼리 수출에 대해 즉각적인 무관세 시장 접근이 가능해진다. TRQ는 2023년 회계연도에는 110톤, 2024년 회계연도에는 140톤으로 5년 동안 점진적으로 최대 200톤까지 증가했으며, 관세는 1.0% 경감된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