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에너지 기업 엑스링크(Xlinks)가 모로코의 재생에너지 3.6GW를 영국의 전력망에 연결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사우디 에너지 대기업인 ACWA파워(ACWA Power)와 협력해 추진 중인 ‘엑스링크 모로코-영국 전력 프로젝트’는 세계 최장 길이인 3,800km의 해저 케이블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최근 엑스링크는 잉글랜드 데본에서 두 번째 공공 협의를 발표했다. 기존 변전소 근처에 14km의 지하 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과 고압교류송전(HVAC) 변환소 건설을 위한 계획 허가를 요청이 포함된 회의였다.
아울러 노스데번의 시골 특성을 보존하면서 케이블을 전력망에 연결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찾기 위해 영국 국가 전력망과 긴밀히 협력했다. 모든 케이블은 경로를 따라 지하에 설치되며 지상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지난 17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진행되는 두 번째 공개 협의 기간에는 프로젝트의 개선안에 대한 지역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목표다.
2027년 초 완공...700만 가구 전력 공급
엑스링크스 모로코-영국 전력 프로젝트가 가동되면 영국 연간 전력 수요의 약 8%를 공급해 700만 가구 이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해저케이블은 2030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며 모로코의 구엘밈-오우드 누르 지역에서 생산된 10.5GW의 친환경 전기를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추게 된다. 케이블의 경로는 모로코 해안의 얕은 바다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영해를 통과해 영국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약 219억 달러의 예산이 투입되며 모로코에서 2,000개의 정규직을 포함해 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첫 번째 케이블은 2027년 초에 준비가 완료될 될 예정이며, 나머지 3개의 하위 케이블은 2029년에 운영을 시작한다.
나이젤 윌리엄스(Nigel Williams) 엑스링크 HVDC 송전 프로젝트 디렉터는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하고 건설 중 발생할 수 있는 중단을 최소화하며 지역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지 의견 수렴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모로코, 재생 에너지 수출 강국 자리매김
모로코는 풍부한 태양열 및 풍력 자원을 활용해 재생 에너지 수출 강국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통해 재생 에너지 잠재력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모로코의 재생 에너지 수출은 여러 국가의 관심을 끌며 전략적 파트너십과 거래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영국 ▲스페인 ▲포르투갈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가 모로코의 재생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다.
영국: 모로코와 영국은 새로운 해저 케이블을 통해 모로코가 영국에 전력을 수출하는 획기적인 에너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스페인: 모로코는 스페인과 기존 전력 상호 연결을 통해 양국 간 전력 교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 상호 연결은 모로코의 재생 에너지를 스페인으로 수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했으며, 향후 이 연결의 용량을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포르투갈: 앞서 모로코와 포르투갈은 양국 간 전력 상호 연결 구축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협력은 잠재적으로 모로코가 포르투갈과 그 너머로 재생 에너지를 수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모로코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로 재생 에너지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아프리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 지역에 청정 에너지를 공급하는 주요 공급업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루티 스즈키, 1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전기차 출시 및 수출 확대 가속
오만·네덜란드·독일, 세계 첫 액화 녹색 수소 수입 회랑 개발 위한 협정 체결
베트남, 기업 대상 ‘원산지 통제’ 강화 지시… 美 관세 회피 논란 속 무역 협상 대비
중국 최대 농업기업 코프코, 브라질서 대규모 채용 나서…미중 무역 갈등 속 영향력 확대
태국,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로 축소 목표…미국산 수입 확대 추진
태국, 자동차 생산 2월에도 감소세 지속…'전년 대비 13.6% 하락'
인도 정부, 세계 관세 불확실성 속 수출 감소 공식 발표…“무역 위험 고조, 내년 성장에도 부담”
러시아 서부 항구 원유 수출, 4월 5% 증가 전망…기상 개선 및 유조선 가용성 확대 영향
美, 베네수엘라산 석유 수입국에 25% 관세 위협…국제 유가 상승세
아시아, 친환경 제트연료(SAF) 생산 증가…수출 확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