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선박이 주요 7개국(G7)의 유가 상한선을 초과한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해서 운송 중이라는 사실이 블룸버그통신의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핀란드의 에너지·청정공기 연구센터(CREA) 분석 결과, 러시아산 원유 중 약 3분의 2가 G7 및 그 동맹국의 소유 선박이나 해당 국가에서 보험에 가입한 선박에 의해 운송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가 여전히 유럽 해운 산업에 큰 의존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지난해 12월 G7, 유럽연합(EU), 호주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은 러시아의 원유 수출 이익을 제한하기 위해 배럴당 60달러의 가격 상한제를 도입했다.
이 조치는 러시아의 원유 수출 수익을 줄이면서도 세계에 안정적인 석유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자 선단'을 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러시아는 상한제의 효과를 피하고 있다.
'그림자 선단'은 국제 제재 대상국인 러시아와 주로 거래하는 유조선을 의미한다. CREA 관계자는 "유가 상한제의 효과가 약해진 주요 원인은 그림자 선단이 아니라, 해당 정책을 도입한 국가들이 가격 상한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하고 위반자에게 제재를 가하지 않아서다"라고 지적했다.
러시아 원유 공급량은 서방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최근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G7, EU 및 호주 등이 도입한 유가 상한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유럽연합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함에 따라 러시아 원유의 가격을 배럴당 60달러로 제한하는 유가 상한제를 도입했다. 이 조치의 주요 목적은 러시아의 경제에 타격을 주는 것이었다.
마루티 스즈키, 1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전기차 출시 및 수출 확대 가속
오만·네덜란드·독일, 세계 첫 액화 녹색 수소 수입 회랑 개발 위한 협정 체결
베트남, 기업 대상 ‘원산지 통제’ 강화 지시… 美 관세 회피 논란 속 무역 협상 대비
중국 최대 농업기업 코프코, 브라질서 대규모 채용 나서…미중 무역 갈등 속 영향력 확대
태국,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로 축소 목표…미국산 수입 확대 추진
태국, 자동차 생산 2월에도 감소세 지속…'전년 대비 13.6% 하락'
인도 정부, 세계 관세 불확실성 속 수출 감소 공식 발표…“무역 위험 고조, 내년 성장에도 부담”
러시아 서부 항구 원유 수출, 4월 5% 증가 전망…기상 개선 및 유조선 가용성 확대 영향
美, 베네수엘라산 석유 수입국에 25% 관세 위협…국제 유가 상승세
아시아, 친환경 제트연료(SAF) 생산 증가…수출 확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