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원유 수출 부문에서 물량이 증가했지만 금액은 감소하는 등 엇갈린 실적을 기록했다.
베트남 관세총국에 따르면, 베트남은 7월에 1억 1,500만 달러 상당의 원유 22만 2,847톤을 수출해 6월에 비해 물량은 9.4% 증가했지만 금액은 13.6% 감소했다.
올해 1~7월 베트남의 원유 수출액은 10억 7,000만 달러, 16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물량은 10.8% 증가했지만 금액은 17.4% 감소했다.
7월 베트남 원유 수출에서 태국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태국은 4,660만 달러 상당의 원유 11만 3,486톤을 수입했다. 6월에 비해 물량은 190%, 금액은 84% 증가한 수치다.
첫 7개월 동안의 수치는 4억 5,440만 달러, 70만 5,58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금액은 63%, 가치는 18% 증가했다. 이는 베트남 전체 원유 수출 매출액의 금액 기준 42%, 수량 기준 43.7%를 차지한다.
베트남의 원유 수출 대상국은 태국, 호주, 싱가포르, 중국, 한국, 일본 등이었다.
수출 176만 톤 vs 수입 736만 톤...원유 시장의 불균형
베트남은 상당한 원유 수출국이지만, 국내에서 생산되는 원유의 종류가 기존 정유공장과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정제를 위해 베트남은 계속해서 원유를 수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수출국으로서의 역할과 상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응이손 정유공장은 사막과 편암에서 추출한 걸프만산 원유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덩꿧 정유공장은 바흐호 유전의 원유를 전문적으로 활용하지만, 이 유전의 매장량이 고갈된 상태다.
이러한 불균형으로 베트남은 2022년에 270만 톤의 원유를 수출하지만 78억 달러가 넘는 1,020만 톤을 수입하고 있다. 수입된 원유는 주로 앞서 언급한 두 정유사에 공급됐다.
한편, 올해 첫 7개월 동안 베트남의 원유 수출 및 수입량은 각각 176만 톤과 736만 톤이었다.
인도, 4월 무역적자 5개월 만에 최고치…수출 선제 대응 미흡 속 수입 급증
석유 생산 업체 스트라스코나, MEG Energy에 42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적대적 인수 제안 계획
에니, 인도네시아 메라케스 이스트 유전서 가스 생산 개시…동남아 에너지 전략 본격화
[기획-에너지 METHOD] 인니 석탄 수출 3년 만에 최저…中·印 수요 급감 직격탄
인도, 4월 디젤 수출 10년 만에 최저치 전망… 정유시설 유지보수와 내수 수요가 원인
아르헨티나, 올해 에너지 무역수지 80억 달러 흑자 전망… 정부 정책·셰일 개발 ‘쌍끌이 효과’
마루티 스즈키, 1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전기차 출시 및 수출 확대 가속
오만·네덜란드·독일, 세계 첫 액화 녹색 수소 수입 회랑 개발 위한 협정 체결
베트남, 기업 대상 ‘원산지 통제’ 강화 지시… 美 관세 회피 논란 속 무역 협상 대비
중국 최대 농업기업 코프코, 브라질서 대규모 채용 나서…미중 무역 갈등 속 영향력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