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광업 중공업부가 석탄 및 기타 광물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광업 중공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이번달 초까지 9,000대 이상의 트럭이 950개의 석탄 컨테이너와 1,000대 이상의 스마트 무인운반시스템(AGV)이 석탄을 수출했다. 이 기간 총 113만 4,000톤의 석탄이 수출돼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7% 증가했다. 올해까지 석탄 수출량은 총 2,404만 9,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배 증가했다.
구리 정광 수출에는 384대의 트럭과 224개의 컨테이너가 동원됐다. 올해 현재까지 63만 톤의 구리 정광이 수출되어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습니다.
철광석 및 정광 수출에는 27대의 트럭과 1,830개의 컨테이너가 국경을 통과했습니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2,230만 2,000톤의 광물이 수출돼 작년 같은 기간보다 56% 증가했다. 저번주에만 13만 톤의 철광석과 정광이 국경을 넘었다.
광물 제품의 총 수출 실적은 석탄 65.9%, 구리정광 45.1%, 철 26.5%, 금 28.3%, 석유 30.6%, 아연 83.6%, 불소 84.1%로 평균 52% 수준이다.
올해 첫 5개월 동안 총 150만 톤의 석탄이 판매됐다. 대표적인 기업인 '에르데네스 타반톨고이' JSC는 온라인으로 석탄 100만 톤을 1억 2,670만 달러에 거래해 3,77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인도, 4월 무역적자 5개월 만에 최고치…수출 선제 대응 미흡 속 수입 급증
석유 생산 업체 스트라스코나, MEG Energy에 42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적대적 인수 제안 계획
에니, 인도네시아 메라케스 이스트 유전서 가스 생산 개시…동남아 에너지 전략 본격화
[기획-에너지 METHOD] 인니 석탄 수출 3년 만에 최저…中·印 수요 급감 직격탄
인도, 4월 디젤 수출 10년 만에 최저치 전망… 정유시설 유지보수와 내수 수요가 원인
아르헨티나, 올해 에너지 무역수지 80억 달러 흑자 전망… 정부 정책·셰일 개발 ‘쌍끌이 효과’
마루티 스즈키, 1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전기차 출시 및 수출 확대 가속
오만·네덜란드·독일, 세계 첫 액화 녹색 수소 수입 회랑 개발 위한 협정 체결
베트남, 기업 대상 ‘원산지 통제’ 강화 지시… 美 관세 회피 논란 속 무역 협상 대비
중국 최대 농업기업 코프코, 브라질서 대규모 채용 나서…미중 무역 갈등 속 영향력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