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정부가 18개월간의 재생에너지 수출 금지 조치를 해제한다. 현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늘리고 증가하는 싱가포르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다.
최근 라피지 람리(Rafizi Ramli) 경제부 장관은 정부가 민간 부문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더 많은 재생에너지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생산자와 구매자가 협상한 가격으로 생산된 재생에너지가 판매될 것이라는 요지다.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는 초기 재생에너지 설치 목표의 속도를 두 배로 높여 2050년까지 기존 목표인 40%에서 70%의 발전 용량을 달성할 것을 밝혔다.
이에 수출 금지 조치 해제는 수익성이 높은 싱가포르 시장에 접근할 수 있어, 업계 관계자들이 환영하는 분위기다.
수출 금지 조치는 말레이시아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을 유지하고 청정에너지가 필요한 기업의 국내외 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2021년 10월에 처음 시행됐다.
그리고 현지에서 재생에너지 용량 확대를 장려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3월에 재생에너지 수출 금지에 대한 검토가 시작됐다.
닉 나즈미 닉 아흐매드(Nik Nazmi Nik Ahmad) 말레이시아 에너지 천연자원부 장관은 재생에너지 수출에는 아직 세부 사항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으나 특정 조건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비스 총(Davis Chong) 말레이시아 태양광산업협회(Malaysian Photovoltaic Industry Association) 회장은 이를 산업 자유화를 향한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전기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전력송신료 제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력송신료는 말레이시아 국영전력공사(TNB)가 독립 발전소에서 전력망의 제3자접속(TPA)을 통해 고객에게 전기를 전송할 때 부과하는 일종의 통행료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올해 3분기에 국가 전력망의 TPA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도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수출과 국내 사용을 위해 얼마나 많은 재생에너지가 할당될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다만, 업계 관계자들은 낙관적이며 수출에 필요한 기술 솔루션에 대한 추가 명확성을 기다리고 있다.
재생에너지, 현지와 해외시장 모두 겨냥
수출 소식 외에도 2023년 하반기에 완공 예정인 정부 건물의 옥상 태양광 패널 설치에 5,000만 링깃이 할당돼, 현지 업계에 즉각적인 혜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작년에 시행된 녹색전기요금(GET)에 따른 할당량이 올해 완전히 소진되고 확대되며 재생에너지에 대한 현지 수요가 매우 높다. 반면,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의 출시는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최대 1,000메가와트(MW)의 수력 발전 수출을 목표로 싱가포르와 협의를 진행 중인 사라왁 주 정부를 비롯해 YTL파워, 솔라베스트(Solarvest) 및 기타 민간개발업체들이 수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 프로젝트 개발자는 현재 업계에 필요한 것은 그리드에 필요한 투자를 보장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비용이 수출 가격에 포함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데이비스 회장은 “국내 재생에너지 할당량을 희생할 필요가 없다”며 “전력 품질, 상호 연결 요건, 이행 보증 등 재정적 약속을 포함한 에너지 수출 시장의 요건은 진입 장벽이 높기 때문에 산업 세분화가 개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재생에너지 수출 금지 해제 결정은 당초 말레이시아 정부가 새로운 정책 발표 시한을 6월로 정했던 만큼 업계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마루티 스즈키, 1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전기차 출시 및 수출 확대 가속
오만·네덜란드·독일, 세계 첫 액화 녹색 수소 수입 회랑 개발 위한 협정 체결
베트남, 기업 대상 ‘원산지 통제’ 강화 지시… 美 관세 회피 논란 속 무역 협상 대비
중국 최대 농업기업 코프코, 브라질서 대규모 채용 나서…미중 무역 갈등 속 영향력 확대
태국,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로 축소 목표…미국산 수입 확대 추진
태국, 자동차 생산 2월에도 감소세 지속…'전년 대비 13.6% 하락'
인도 정부, 세계 관세 불확실성 속 수출 감소 공식 발표…“무역 위험 고조, 내년 성장에도 부담”
러시아 서부 항구 원유 수출, 4월 5% 증가 전망…기상 개선 및 유조선 가용성 확대 영향
美, 베네수엘라산 석유 수입국에 25% 관세 위협…국제 유가 상승세
아시아, 친환경 제트연료(SAF) 생산 증가…수출 확대 전망